티스토리 뷰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거나, 배우자와 함께 자산을 나누고 싶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고민이 바로 ‘증여세는 얼마나 나올까?’일 텐데요. 괜히 마음 편하게 재산을 이전했다가 예상치 못한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어서, 사전에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특히 2025년 기준으로 증여세 면제 한도에는 가족관계에 따라 적용되는 기본공제 금액이 다르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 얼마를 주는지에 따라 세금이 생기기도 하고 면제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녀, 배우자, 친척 등 관계별 증여세 면제 기준, 그리고 신고 및 주의사항까지 모두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처음 증여를 고민하시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예시와 함께 정리해봤습니다.
부모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
성인 자녀와 미성년 자녀는 기준이 다릅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하는 건 아주 일반적인 형태죠. 이 경우, 자녀가 성인인지 미성년자인지에 따라 면제되는 금액이 달라요.
부모 | 자녀(미성년자) | 2,000만 원 | 10년 단위 적용 |
부모 | 자녀(성인) | 5,000만 원 | 10년 단위 적용 |
조부모 | 손자녀 | 동일하게 적용 | 대리증여 주의 |
예를 들어, 성인 자녀에게 4천만 원을 한 번에 증여하면 세금은 없습니다. 하지만 같은 금액을 미성년 자녀에게 주면 2천만 원을 초과한 2천만 원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죠.
💡 TIP: 증여는 10년 동안 누적 금액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매년 조금씩 나눠 주더라도 10년 안에 총합이 면세 한도를 넘으면 세금 대상이 됩니다. 그리고 조부모가 손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에도 같은 한도가 적용되긴 하지만, 부모를 건너뛴 ‘대리 증여’는 국세청에서 불리하게 판단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부부 간 증여세 면제 한도
부부끼리는 최대 6억 원까지 면세! 배우자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경우는 면세 한도가 무려 6억 원이나 됩니다. 이건 부부가 가정 내 자산을 함께 관리하고 노후 대비를 하도록 장려하는 취지에서 설정된 혜택인데요.
배우자 | 배우자 | 6억 원 | 10년 단위 적용 |
예를 들어, 남편이 아내에게 현금 3억 원을 증여했더라도, 10년 이내 추가로 3억 원을 더 줄 수 있고 총 6억 원까지는 세금 없이 증여가 가능합니다.
💡 주의할 점: 증여세는 면제되더라도 부동산을 공동명의로 바꾸는 경우, 취득세나 양도소득세는 별도로 발생할 수 있어요. 즉, 무조건 세금이 안 나오는 건 아니고, 증여세만 면제되는 거라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
형제자매 증여세 면제 한도
부모나 배우자 외의 가족은 면제 한도가 훨씬 낮아요. 부모·배우자와 같은 직계가족이 아닌 경우엔 증여세 면제 한도가 매우 낮은 편입니다. 형제자매끼리, 또는 사촌이나 고모·이모 등 친척 간의 증여도 가능한데요, 면세 한도가 작기 때문에 대부분 일정 금액 이상은 세금이 붙는다고 보면 됩니다.
형제자매 | 형제자매 | 1,000만 원 |
기타 친족 | 기타 친족 | 500만 원 |
예를 들어 동생에게 1,500만 원을 줬다면, 500만 원에 대해 증여세가 발생하죠. 그리고 친족이 아닌 친구나 연인, 직장 동료 등에게 재산을 증여하는 경우엔 면제 한도가 아예 없기 때문에 1원부터 전액 과세된다고 보셔야 합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 ‘10년 단위’
10년마다 초기화된다는 개념, 꼭 기억하세요.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면세 한도 계산 방식인데요. 증여세는 “10년마다 면제 한도가 초기화되는 구조”입니다. 즉, 10년 동안 누적 금액이 면제 한도를 넘지 않으면 세금이 없지만, 10년이 지나면 다시 면제 한도가 새롭게 적용되는 거예요.
예시
- 2021년에 부모에게 2천만 원을 받았다면 → 2031년부터 다시 5천만 원까지 면세 적용 가능
- 2025년에 배우자로부터 3억 원을 증여받았다면 → 2035년까지는 남은 3억만 추가 증여 가능
💡 주의사항: 자녀가 여러 명이라도 자녀 1명당 면제 한도가 적용됩니다. 또한 증여할 때는 계좌이체 내역, 계약서, 증여 확인서 등 증빙 자료도 꼼꼼하게 준비해두셔야 나중에 불이익이 없습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 신고 방법
면세 한도 넘겼다면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증여세는 신고 의무가 있는 세금입니다. 기본공제 한도를 넘는 증여가 발생하면 무조건 신고해야 하고,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까지 물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증여세 신고 요약
- 신고 대상: 증여액이 면제 한도를 초과할 경우
- 신고 기한: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신고 방법: 국세청 홈택스에서 온라인 제출 가능
혹시라도 신고를 놓쳤거나 기준이 헷갈린다면, 세무사 상담을 통해 정확히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무리
- 부모 자녀 간: 성인 자녀 5천만 원, 미성년 자녀 2천만 원 (10년 기준)
- 배우자 간: 최대 6억 원 면세
- 형제자매, 친척 간: 500만~1천만 원 한도
- 비친족 간: 면세 한도 없음, 전액 과세
- 10년 단위 누적 계산, 다시 리셋되는 구조
- 초과 시 반드시 신고, 미신고 시 가산세 발생
함께 보시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