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학생들이 주요 피해자로 노출되고 있어 그 심각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딥페이크 성범죄의 현황과 이에 대한 대책을 살펴보며, 사회적 대응 방안을 제안해보겠습니다.
딥페이크 성범죄의 증가와 학생 피해
최근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한 성범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을 통해 특정 인물의 얼굴을 음란물에 합성하는 방식으로, 그 피해는 주로 학생과 같은 청소년들이 겪고 있습니다. 학부모와 학교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지만, 뚜렷한 대응책은 부족한 실정입니다.
더욱이,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가해자의 신상을 공유하며 보복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텔레그램 같은 메신저를 통해 가해자로 의심되는 인물의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정보가 퍼지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력구제 방식은 법적 대응의 한계를 보완하지 못하고,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습니다.
연예인과 일반인, 지인까지 피해 확산
딥페이크 범죄는 연예인, 지인, 일반인까지 피해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연예인의 얼굴을 합성해 음란물로 만드는 범죄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영상들이 대중에게 쉽게 유포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딥페이크 기술을 이용한 신분 사기, 가짜 음성을 이용한 사기 등의 범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딥페이크 피해에 특히 취약한 국가로 평가됩니다. 미국의 사이버 보안 업체 ‘시큐리티 히어로’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딥페이크 성범죄 피해자의 53%가 한국인이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큰 피해자는 가수와 배우 등 연예인들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연예인의 사생활 침해와 정신적 고통이 매우 심각한 수준입니다.
플랫폼 책임 강화가 현실적인 해결책
딥페이크 기술 자체를 차단하는 것은 기술적 한계가 있어 어렵습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불법 콘텐츠가 유포되지 않도록 플랫폼에 더 큰 책임을 부과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제안합니다. 유럽연합(EU)에서는 이미 플랫폼에 법적 의무를 강화하고 있으며, 한국도 이러한 글로벌 규제 흐름에 맞춰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명주 서울여대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플랫폼이 딥페이크 영상의 유통을 적극적으로 차단하고 삭제할 의무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법적 장치 마련이 필요함을 강조했습니다. 이를 통해 딥페이크 범죄가 퍼지는 것을 최대한 빠르게 차단하고,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인공지능 정보 식별을 위한 법적 장치 도입
딥페이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인공지능으로 만든 가상 정보와 실제 사실을 구분할 수 있는 법적 장치가 도입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22일 발의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은,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정보임을 명확히 표시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처벌하는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이 개정안은 크게 두 가지를 목표로 합니다. 첫째, 인공지능으로 만든 정보임을 명확하게 표시하도록 의무화하고, 둘째, 이러한 표시가 없을 경우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삭제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허위 정보와 가짜 콘텐츠로 인한 혼란을 방지하고,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법적 대응의 한계와 문제점
하지만 이 법안에도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인공지능으로 만든 정보에 표시된 '가상 정보'라는 표시를 악의적으로 제거하거나 조작하는 경우입니다. 이렇게 되면 허위 정보가 사실처럼 보일 수 있어, 오히려 가짜 정보의 신뢰도가 높아질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이 법안은 인공지능으로 생성된 정보를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만 처벌이 이루어질 뿐, 반대로 실제 사실에 가상 정보라는 거짓 표시를 붙이는 행위에 대한 규제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진실 왜곡을 방지하는 데 부족한 대응이 될 수 있습니다.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법과 같이, 허위 표시를 금지하는 규정도 함께 포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행정비용과 기업 경영 자율성 문제
이 법안이 시행되면 정부는 인터넷 게시물의 표시 여부를 감시해야 하기 때문에 행정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 스스로 적합한 표시 방식을 개발해 적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적으로 표시 방식을 일괄 규정하는 것은 기업의 경영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딥페이크 문제 해결 사회적 협력
딥페이크 기술은 매우 편리하지만 그로 인한 문제도 심각합니다. 법적 대응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만큼, 사회 구성원 전체가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입니다. 정부, 기업, 플랫폼, 그리고 사용자들이 함께 협력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마무리
딥페이크 범죄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전체가 직면한 새로운 도전 과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협력과 책임 있는 대응이 필요하며, 특히 법적, 사회적 인프라가 함께 개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글